세입자 대책없는 광명재래시장 뜨거운 감자

광명동과 철산동 일원 2,280,630㎡를 개발하는 광명재정비촉진계획(안) 주민공청회가 28일 광명실내체육관에서 열렸다. 이날 공청회에는 1천4백여명의 시민들이 참석해 뉴타운 개발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광명시는 오는 6월 경기도 도시재정비위원회(소위원회) 자문 및 승인신청을 할 방침이다.

광명시 재정비촉진계획안에 따르면 뉴타운 지역의 세대수는 현재 45,343세대에서 39,559세대(존치지역 포함)로 감소하며, 계획인구는 117,989명에서 개발 후 104,452명으로 10%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공원은 현재 3%에서 11%로 3.9배 증가하고, 교육, 문화시설은 현재 7개소에서 9개소로 늘어난다. 현재 5km인 자전거도로는 목감천-안양천-한강을 연결하는 광역자전거도로망을 포함해 13km로 늘어난다. 광명사거리 교통상습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광명대교와 중앙로를 연계하는 우회도로 2개소가 신설돼 동서 3축, 남북 2축의 교통체계를 갖게 된다.

기반시설 순부담율은 주택재개발구역은 10%,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은 10~26.5%이며, 계획용적률은 2종 일반주거지역의 경우 평균 253%, 3종 일반주거지역은 평균 273%이며, 전략사업구역은 준거주지역 500% 이하, 일반상업지역 800%이하다.

세대수는 주택재개발구역의 경우 20,370세대(분양 25,187세대)로 세입세대비율은 17%이며, 도시환경정비구역은 4,000세대(분양 3,517세대), 세입세대는 주거연면적의 10%로 계획되어 있으며, 주택규모비율은 40㎡이하 3,169세대, 40㎡이상~60㎡이하 12,901세대, 60㎡~85㎡이하 14,033세대, 85㎡초과 4,287세대로 주택규모비율은 기본적으로 5:4:1 구조이나, 토지 등 소유자 수가 충족되면 개발시 4:4:2로 조정이 가능하다.

                      ▲ 광명뉴타운     구역계
▲ 광명뉴타운 구역계
광명사거리는 최고 50층의 다목적 복합건축물로 랜드마크를 형성하고, 도덕산 구릉지 일대는 7층 이하의 테라스하우스형 저층아파트, 목감천변은 데크형 단지가 들어서며, 일반주거지는 연도형 상가, 15~35층의 아파트가 계획되어 있다.

사업은 올해부터 단계별로 추진돼 2020년 마무리된다. 1단계(2009년~2011년) 5개구역, 2단계(2012년~2014년)는 10개 구역, 3단계(2015년 이후)는 9개 구역이다. 1단계는 전략기발시설 설치구역, 결합개발구역 등을 우선으로 했다. 이주대책에 대한 우려로 인해 단계별 사업시행은 인, 허가시기를 시장이 주변 주택시장의 동향을 고려해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뉴타운 지역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세입자들의 대책은 찾아보기 어렵다. 우선 1단계 사업구역으로 포함된 광명재래시장의 상가세입자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광명재래시장 상가세입자들은 이날 공청회장에서 이주대책과 영업권이 보장되지 않은 뉴타운 사업에 동의할 수 없다며 전면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 광명재래시장 상인들이       공청회장에서 피켓을 들고 항의하고 있다.
▲ 광명재래시장 상인들이 공청회장에서 피켓을 들고 항의하고 있다.
광명재래시장 안경애 상인조합이사장은 “광명재래시장은 자생적으로 발생한 유서깊은 시장으로 서울, 부천, 시흥, 안양 등 타지에서도 일부러 장을 보러 오는 전통있는 시장이고, 서민들의 삶의 터전”이라며 “환경개선사업으로 70억원의 혈세를 투입한 광명재래시장을 뉴타운 개발을 한다며 없애는 광명시의 무개념 행정에 영세한 세입자들은 고통받고 있다”며 “제2의 용산참사를 야기시킬 수 있는 뉴타운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고 광명재래시장은 존치하라”고 주장했다.

이에 백운수 총괄계획가는 “광명재래시장의 경우 용적률을 높여 사업 진행 후 현재 장사하는 세입자들에게 우선 분양권을 줄 수 있도록 하고, 개발 중에는 다른 장소를 마련해 영업을 할 수 있게 배려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나 상인들은 “용적률을 높인다고 해서 하루 먹고 살기 빠듯한 영세상인들이 상가를 분양받는 것이 가능하냐”며 반발했으며, 뉴타운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는 구호를 외치고 공청회장을 퇴장했으며,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물러설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어서 향후 큰 파장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