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주민투표제로 시행되는 경기도 교육감선거일이 성큼 다가오고 있지만 유권자들의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이번 선거는 보수진영의 지지를 얻고 있는 김진춘 현 경기도교육감과 시민단체로부터 ‘범민주후보’로 추대된 김상곤 한신대 교수 등을 비롯해 모두 5명의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으며, 보수와 진보의 대결양상구도로 전개되고 있다.

연간 8조 5천억(2008년도 기준)이란 막대한 예산을 꾸려나가고 여기에 초, 중, 고등학교 198만명의 학생과 10만명이 넘는 교직원을 모두 포괄하는 경기도 교육대통령을 누가 하느냐에 따라 경기도의 미래가 달라지고,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라진다.

교육감은 학교교육을 크게 바꿀 수 있는 자리다. 고교평준화 문제, 0교시, 야간자율학습 등 사실상 경기지역의 교육현안들은 거의 모두가 경기교육감 손안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선거비용만 450억원이 소요되는 이번 교육감 선거는 경기도 교육의 질을 결정짓고, 내 아이의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경기도민의 마지막 보루인 셈이다.

이렇게 중요한 의미를 지녔지만 경기도 교육감선거는 유권자들의 관심 밖이다. 경기도 선거관리위원회는 얼마 전 치러졌던 서울시 교육감 선거 투표율이 15.5%에 그쳤던 것을 고려할 때 경기도 교육감선거 역시 사정은 비슷하고, 오히려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어른들의 무관심으로 우리 아이들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교육정책에 대해서 날선 비판을 하면서도 정작 투표는 외면하는 이중적인 구경꾼로서의 태도는 이제 지양되어야 한다. 내 자식을 위해서라도 5명의 후보자들의 공약과 경력을 꼼꼼히 따져 적극적으로 투표해야 한다.

조직력과 기득권이 강한 인물이 아니라 경기도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고, 아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정책을 주민들과 함께 고민하는 민주적이고 투명한 정책을 펼쳐 나가는 교육감이 필요하다. 주민들과 동떨어져 왕처럼 군림하며, 권위적이고, 폐쇄적이었던 우리 교육계는 이제 달라져야 한다.

그동안 서민들은 공교육의 붕괴와 높은 사교육비에 허리띠를 졸라맸다. 교육기회의 평등은 이미 허공의 메아리로 전락했다. 정상적인 학교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분위기에서 돈이 없으면 배울 수 없고, 소위 일류대가 부유층의 전유물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선거는 우리 교육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흔히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을 한다. 이런 중요하고 좋은 기회를 ‘그들만의 잔캄로 전락시키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은가.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