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동력 못 살리는 광명시 행정의 민낯 고스란히 드러내

광명지역신문=장성윤 기자> “광명시 국제안전도시 공인사업에 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그간 추진사항을 보면 2018년부터 계속해서 추진해 오셨는데 광명시에서 주로 한 걸 보면 연구 용역을 주셨어요. 그 다음에 또 연구 용역이 완료됐고 그 다음에도 또 연구 용역 계약을 하시고, 또 연구 용역 완료를 하셨는데 그러면 도대체 광명시에서는 안전도시를 위해서 하는 일이 뭐예요?...(중략)...실질적으로 광명시에서는 특별히 하는 게 없는, 용역만 주고 이 사람들이 3차 용역에 걸쳐서 선포식을 하게 되면 그냥 끝나는 거예요?” (설진서 광명시의원 / 2023.02.24. 광명시의회 복지문화건설위원회에서 발언내용)

2018년 광명시민들이 주도한 '국제안전도시 광명 추진 선포식'의 모습. 전국최초의 민관협치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이 사업은 광명시 소극행정으로 시민동력을 살리지 못하며 빛을 잃은 지 오래다. 
2018년 광명시민들이 주도한 '국제안전도시 광명 추진 선포식'의 모습. 전국최초의 민관협치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이 사업은 광명시 소극행정으로 시민동력을 살리지 못하며 빛을 잃은 지 오래다. 

광명지역신문과 광명의 126개 시민사회단체들이 광명시에 추진을 제안했던 ‘국제안전도시 공인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마무리 수순을 밟고 있다. 

광명시는 지난 12일 국제안전도시지원센터(센터장 조준필) 주관으로 이 사업에 대한 1차 심사를 실시하고, 오는 11월 스웨덴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의 2차 본심사를 거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광명지역의 시민사회단체들이 뭉쳐 2018년 10월 ‘국제안전도시 광명 추진 선포식’을 개최한 지 5년 만인데 지역사회의 반응은 냉랭하다.

관이 주도하던 기존의 국제안전도시와는 달리 시민들이 관에 제안하며 '전국 최초 민관협치'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이 사업은 소극적인 행정과 담당자의 잦은 인사이동 등 광명시 공직사회의 문제점들이 고스란히 드러나면서 당초 취지는 사라지고, 빛을 잃은 지 오래다. 

당시 선포식에 동참했던 지역활동가들은 "뭉쳤던 시민동력도 살리지 못하는 광명시 행정의 민낯을 보여준 사례"라며 "공인을 받는 게 문제가 아니라 안전도시를 만들기 위해 민관이 어떤 노력을 했느냐가 중요한데 용역만 해서 얻는 허울 뿐인 국제안전도시 타이틀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고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광명시는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위해 1차 1억678만원, 2차 8,218만원, 3차 1억1,118만원 등 3차례에 걸쳐 용역절차를 밟았고, 투입한 용역비만 3억원이 넘는다. 

2018년 광명시민들이 주도한 '국제안전도시 광명 추진 선포식'의 모습. 전국최초의 민관협치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이 사업은 광명시 소극행정으로 시민동력을 살리지 못하며 빛을 잃은 지 오래다. 
2018년 광명시민들이 주도한 '국제안전도시 광명 추진 선포식'의 모습. 전국최초의 민관협치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이 사업은 광명시 소극행정으로 시민동력을 살리지 못하며 빛을 잃은 지 오래다. 

한편 이날 1차 심사는 ▲총괄 보고 ▲손상감시체계 ▲도로교통 손상 예방 ▲낙상 예방 ▲지역 안전 ▲자살 예방 ▲폭력 예방 ▲고위험군 등 사고예방에 대한 분야별 심사와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현재 세계 33개국 435개 도시가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울특별시 송파,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안산, 시흥, 광주 등 28개 도시가 공인받았다. 

2018년 광명시민들이 주도한 '국제안전도시 광명 추진 선포식'의 모습. 전국최초의 민관협치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이 사업은 광명시 소극행정으로 시민동력을 살리지 못하며 빛을 잃은 지 오래다. 
2018년 광명시민들이 주도한 '국제안전도시 광명 추진 선포식'의 모습. 전국최초의 민관협치 사례로 기대를 모았던 이 사업은 광명시 소극행정으로 시민동력을 살리지 못하며 빛을 잃은 지 오래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