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구차환 광명시서적협동조합 이사장

“중소서점들의 경우 도매상에서 신간을 납품받아 판매한 후 재고를 반품하고 신간을 받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반품을 통해 현금화하지 못하면 재고량만큼 적자가 쌓일 수 밖에 없는 구조죠. 국내업계 2위 서적 도매상 송인서적의 부도로 가뜩이나 어려운 중소 출판사와 동네서점들은 고사위기에 처해있습니다”

 						 							▲ 광명시서적협동조합 구차환 이사장이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 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 광명시서적협동조합 구차환 이사장이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 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동네서점 살리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광명시서적협동조합 구차환 이사장은 송인서적 부도 당일까지도 책을 주문하고 받았다며 당혹함과 허탈함을 감추지 못했다.

연초부터 갑자기 불어닥친 송인서적의 부도는 중소 출판업계와 동네서점들의 연쇄 부도로까지 이어질 수 있을만큼 직격탄을 날렸다. 출판사는 ‘송인서적’에서 대금을 돌려받지 못해 운영에 차질을 빚게 되고, 동네서점은 반품과 신간공급의 유통구조가 막혀버렸기 때문이다. 송인서적은 전국 2천여개 출판사와 1천2백여개 서점과 거래하는 대형 도매상이었지만 100억원 규모의 어음을 처리하지 못해 지난 1월 3일 최종 부도 처리됐다.

사실 자본력을 앞세운 대기업 서점과 인터넷서점들에 밀려 어려움에 처해있는 동네서점의 현실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었다. 책을 제값 주고 사면 손해라는 인식이 동네서점을 힘들게 했고, 2014년 11월부터 동네서점을 살리겠다는 취지로 도서정가제가 시행되고 있지만 유령서점들이 난립하면서 동네서점이 활로를 모색하기에는 시장이 녹록치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유령서점의 난립이다. 구차환 이사장은 “동네서점을 살리고, 출판문화산업을 활성화하자는 취지로 도서정가제가 시행되고 있지만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유령서점들, 이른바 페이퍼컴퍼니들이 공공기관 입찰에 참여해 중간이득만 챙기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관계기관의 인식부족으로 도서정가제의 근본 취지가 무너지고 있다”며 “이런 추세라면 3년 후 광명에 서점이 하나도 남지 않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구차환 이사장은 “광명시는 양기대 시장의 의지로 고사위기에 처한 동네서점을 살리기 위해 공공도서관 서적구입시 지역서점을 우선 이용하려는 적극 행정을 펼치고 있어 감사한다”며 “그러나 여전히 입찰과정에서 실제로 서점을 운영하지 않는 페이퍼컴퍼니들이 난립하고 있지만 이런 문제를 개선할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광명시서적협동조합은 최근 광명시소상공인단체연합회와 함께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조례 제정을 위해 힘쓰고 있다.

구 이사장은 “작년 11월 경기도의회가 지역에 소재하는 중소 지역서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독서문화진흥 등을 위해 ‘경기도 지역서점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며 “광명시도 관련조례가 제정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협조를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명시서적협동조합은 지역서점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규정하고, 지역서점 우선구매 정책시행, 지역서점위원회 설치 등을 조례에 반영해 제도적으로 유령서점을 걸러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작은 서점의 추락은 가파르다. 한국서점조합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전체 서점(문구점 경영 포함) 수는 2005년 3429곳에서 2015년 2116곳으로 38.3%가 감소했다. 이 중 가장 타격이 큰 곳이 작은 서점이다. 반면 대형 서점은 같은 기간 7.6%에서 13.4%로 증가했다.

살기 위해 발버둥치는 동네서점들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행정기관의 관심과 근본적 대책 마련이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