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13일 ‘학교 민주주의 지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학교민주주의 지수 조사는 지난 9월 26일부터 10월 2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으로 실시했으며, 도내 총 2,293교 초‧중‧고교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 432,802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별도의 설문조사 시스템을 구축해 홍보하고 지수 인식개선 노력을 기울인 결과 응답자 수가 지난해 보다 143,633명 증가했다.

설문 내용은 학교문화, 학교구조, 민주시민교육실천 등이었으며, 설문지는 초등학생용(23문항), 중‧고등학생용(23문항), 학부모용(23문항), 교직원용(30문항) 등 총 4종으로 구성했으며, 교직원용 문항에는 그동안 별도로 조사했던 관행문화 개선 문항을 포함하여 간소화했다.

2016년 경기도 전체 학교민주주의 지수는 76.3점으로 지난해 71.4점 보다 4.9점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별 지수는 초등학교가 80.3점으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 75.5점, 고등학교 69.7점이었으며, 학교유형별로는 혁신학교가 78.9점으로 가장 높았고 혁신공감학교, 일반학교 순이었다. 또한, 교육주체별 지수는 교직원이 82.5점으로 가장 높고 학부모, 학생 순이었다.

3개 대분류 지수는 학교문화 78.0점, 학교구조 75.8점, 민주시민교육실천 75.1점이었으며, 모든 영역에서 교직원의 평가가 학생, 학부모의 평가보다 높아 교직원 이외의 교육주체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9개 중분류 지수에서는 인권친화적 학교문화가 77.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민주적 가치체계 형성과 공유(76.8점), 학교생활에서의 민주시민교육 역량 강화(76.1점) 순이었다. 반면, 민주적 리더십 구축하기(74.2점), 학교민주주의 구축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과 토대(74.8점) 등은 낮게 나타나, 인적 자원의 역량 강화 연수와 물적 토대 구축을 위한 예산 확보에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교육 주체 간 인식차가 큰 지표는 ‘학교생활 속에서의 민주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직원 85점, 학생 67,8점), ‘민주적 소통과 수평적 관계 맺기’(교직원 83.2점, 학생 66.5점), ‘민주적 리더십 구축하기’(교직원 80.9점, 학생 66.7점) 순이었다.

한편, 교육공동체 구성원 스스로의 반성과 책임을 이끌어내기 위해 올해 새롭게 도입한 자기평가는 학교문화 82.2점, 학교구조 78.2점, 민주시민교육실천 72.9점으로 나타나 민주적 학교 구조와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지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학교 스스로 학교문화를 진단하고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대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갖도록 지원하며, 교육지원청과 도교육청에서는 자율과 자치의 학교 민주주의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교육주체 간 입장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별 교육공동체 대토론회, 학생 정책결정 참여제 운영, 교육 정책의 적극적 홍보 등을 확대할 예정이며, 학교급, 학교유형, 지역별 지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연계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우수사례 발굴, 인근지역 학교 간 사례 나눔 토론회 등을 통해 공유와 논의의 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도교육청 관련 부서의 정책과 연계․ 협력하고 지역별 담임 장학 및 전문 컨설팅을 실시하며, 학교별 진단 체계의 확립과 홍보 및 인식 개선을 위해 학교민주주의 지수 매뉴얼을 개발․보급하고‘학교민주주의 진단 포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