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윤 <한나라당       광명시 고문>
▲ 김상윤 <한나라당 광명시 고문>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있다. 회사를 경영함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규모에 도달하고 나면 최고경영자가 모든 것을직접 관리하는데 한계를 느끼게 된다. 결국 인재에 의해 조직을 관리하고 최고경영자는 그 인재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하물며 국가, 지방자치단체는 어떻겠는가.

흔히들 광명에는 인재가 없다고 한다. 이는 곧 희망이 없는 도시라는 말로 연결된다. 좋은 사람이 들어 왔다가도 버티지 못하고 나간다는 것이다.

그러나 엄격히 말하자면 인재가 없는 게 아니라 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백락이 있어야 천리마를 알아보는 것처럼 어느 시대에나 인재는 있다. 다만 인재를 찾지 못하는 이유는 인재를 써야 하는 사람이 인재를 발굴할 줄 아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광명의 인재난은 소위 ‘코드 정캄에서 비롯된다. 코드에 맞는지 여부는 얼마만큼 달작지근한 이야기를 풀어놓느냐에 있다. 쓴 소리를 하면 밉보이고 고분고분 말 들으면 같은 편이 돼 이른바 측근이 된다. 변화를 싫어하고 안 좋은 얘기 듣기 싫어하니 주변에 듣기 좋은 이야기만 하는 사람들만 남는다. 코드가 맞지 않는다고 배척하는 일은 어린 아이나 하는 일이다. 이런 편가르기 속에서 광명시는 병들어간다.

이쯤 되면 광명시는 분명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곳이다. 현재 광명시에서 지원하는 단체나 새로 만들어지는 단체중 전문지식과 능력을 갖춘 사람이 적재적소에 배치된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변화를 도모하려 해도 그 밥에 그 나물이니 달라지기가 어렵다. 자치단체장과 코드가 맞는 사람들이 보고 들은 것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여론을 호도한다.

이렇게 권력 주변에 포진돼 있는 측근들이 광명의 미래를 생각하고 지역에 책임감을 느끼지 못하면 지역은 망가지고 점점 조악해진다. 수장의 눈과 귀는 이렇게 멀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자치단체장이 어떤 사람을 쓰느냐에 따라 광명시의 미래가 달라진다는 말이다.

단체장의 측근들이 듣기 좋은 말만 한다면 시민들의 여론이 수렴된 정책을 만들어 낼 수 없다.
흔히들 광명사람들이 지역 애착심이 없다고 말한다.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광명시민들의 자존심을 높이지 못하고 희망을 주지 못한 정책의 문제가 아닐까.

나에게는 아들이 셋이 있다. 광명이 고향인 세 아들은 다들 광명에서 결혼해서 여기서 보금자리를 꾸미고 있다. 나는 내 자식들이 적어도 내 손주들을 광명에서 기르고 싶어 했으면 좋겠다. 광명시민으로서 자존심을 갖게 되었으면 한다.

이제 더이상 시행착오가 있어서는 안된다. 좋은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쓴 소리도 귀담아 들을 수 있을 때 광명은 시민들의 삶의 질과 자존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