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시사직격’
KBS '시사직격’

 

광명지역신문>

17일 오후 방송하는 KBS ‘시사직격’ 156회의 부제는 ‘집값 하락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폭락이와 폭등이’다.

지난 2022년 부동산 시장은 암울한 소식의 연속이었다. 모두의 꿈인 ‘내 집 마련’에 평생 모은 돈을 투자했던 사람들은 눈 깜짝할 새 폭락한 집값에 몸살을 앓았고, 청약시장과 건설사들까지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집값 더 떨어져야 한다는 이들을 ‘폭락이’, 다시 올라야 한다는 이들을 ‘폭등이’라 부르며 서로 배척하고 갈등을 빚기도 했다.

그리고 올해, 7개월 만의 낙폭 둔화에 다시 반등의 기회를 노리는 이들도 있다. 이대로 ‘부동산 불패 신화’는 계속되는 것일까, 아니면 비로소 거품 붕괴의 서막이 오른 것일까. 오를까, 떨어질까. 모두가 궁금해하는 그 질문과 함께, 대한민국의 부동산 시장을 파헤쳐본다.

 

■ 하우스푸어와 무주택자, 두 청년의 ‘좋은 날’

28살 장효근 씨. 그는 지난 8년간 고시원과 반지하 방을 전전하다가, 2021년 마침내 내 집 마련에 성공했다. 3억 5천만 원짜리 집에 2억 7천만 원이 대출금이었지만, 집값은 단 몇 개월 만에 매매가보다 1억 원 넘게 치솟았다. 

그러나 효근 씨도 갑작스럽게 찾아온 부동산 폭락 장을 피하지 못했다. 오르는 대출이자를 갚기 위해 낮에는 요리사로 일하고, 틈날 때마다 심부름을 하면 수행비를 주는 부업을 병행했다. 옷 살 돈이 없어 티셔츠 단 두 벌을 돌려 입으며, 난방도 켜지 않은 채 겨울을 나야 했다. 

집이 있어도 끝나지 않은 긴축 생활. 효근 씨는 방 한 칸을 옛 반지하 방과 똑같은 모습으로 꾸며놓았다. 매일 출근 전 들여다보며 힘들었던 시절을 떠올리고 더 열심히 살기 위해서이다. 고통스러운 시간을 견디면서도, 그는 집을 산 것을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고 말한다. 집이 있으면 언젠가는 반드시 또 좋은 날이 오리라 믿기 때문이다.

작년 2월, <시사직격 108회> ‘대선과 부동산 – 너도나도 공급 확대, 문제없나’ 편에 출연했던 무주택자 김상우 씨(가명). 집을 사기 위해 반지하 고시원에서 긴축 생활을 하던 그를 1년 만에 다시 찾아가 보았다. 그 사이 800만 원을 더 모았다는 상우 씨는, 여전히 집을 사지 못한 채 적절한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한다. 지난 몇 년간 무섭게 치솟았던 집값은 폭락 장을 지나고도 무주택자에게 여전히 높은 벽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렇게 버티다 보면 또 좋은 날이 올 거예요.

그날은 반드시 올 거라고 생각해요. 

항상 그래왔듯이.”

- 장효근 씨(28) 인터뷰 中 -

 

“거의 인생의 목표라고 해도 될 정도로 간절하죠.

제집에서 먹는 밥이 제일 맛있다고,

저도 한번 저의 집을 가지고 거기서 잠도 자고 밥도 먹고.

그렇게 해보고 싶어요”

- 김상우 씨(가명) 인터뷰 中 -

 

■ 강남마저 흔들린다? 기회는 바로 지금!

지난해 내내 이어진 가파른 금리 인상에, 금융위기 시절에도 유례없던 전세가 하락장이 이어졌다. 집주인이 계약만기를 유예하기 위해 계약 당시보다 떨어진 차액을 임차인에게 돌려주는, 이른바 ‘역전세, 역월세’까지 등장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세가가 하락하면 집값이 하락하는 폭을 더 빠르게, 더 크게 부추길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집값 불패’라 여겨지던 강남 지역의 대장 아파트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박동철 씨(가명)의 아파트는 세입자도, 매수인도 구하지 못해 1년째 공실로 비어있었다. 그 사이 매매가는 3억 원이나 더 폭락했다. 모두의 꿈으로 여겨지는 이 아파트의 국민 평형 실거래가는 1년 만에 23억 8천만 원에서 13억 8천만 원으로 10억 원이 하락했다. 집값 등락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강남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흔들리자, 인근 지역의 부동산 시장은 더욱 큰 두려움에 휩싸였다.

한편, 지금과 같은 하락장이 오히려 적기라며 매수를 시도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전국 부동산 임의경매 신청 추이가 작년 이맘때 1,477건에서 2,824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시사직격>은 법원과 경매 매물 임장을 다니며 기회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투자 철학을 들어보았다.

 

“대한민국에서 부동산은 샤넬이죠.

삼성동 88평 아파트가 100억 원이에요.

부동산은 소비재가 되는 것이 맞지만, 자산증식의 도구라는 사람들의 인식은 

적어도 제가 죽을 때까지는 변하지 않을 겁니다.”

- 박희철(파이팅팔콘) / 부동산 경매 전문가 -

 

■ 누구를 먼저 살릴 것인가?

단군 이래 최대 재개발로 이슈를 몰고 온 둔촌주공아파트(올림픽파크 포레온). 우량사업의 자금난에 건설업계와 부동산 시장에 불안감이 커지자, 정부는 2023년 1월 3일 특단의 규제 완화 대책을 내놓았다. 이후 강남 3구와 용산을 제외한 지역에서 분양권 전매제한이 단축되었고, 실거주의 의무도 폐지되었으며, 분양가와 관계없이 중도금 대출 또한 가능해졌다. 

이른바 ‘둔촌주공 살리기’라 불렸던 이 1.3 대책의 영향이었을까. 그간의 우려와 달리 둔촌주공 무순위 청약 경쟁률은 46.2대 1을 기록했고, 이어 영등포에서 진행된 올해 첫 분양 사업도 예상치 못한 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렇게 성급한 규제 완화가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는다. 청약 수요가 서울에 집중되는 만큼 지역의 미분양 시장이 악화되고, 다주택자의 투자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실거주를 원하는 무주택자의 이익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다.

 

“솔직히 화가 많이 나죠. 실거주자보다 투자자의 입장이거든요.”

- 박승철 씨(가명) 인터뷰 中 -

“다주택자에게 전매제한도 다 풀어주고, 세금도 덜 매기면서

무주택자들은 딱히 이득 볼 게 없거든요.

저처럼 집이 없는 사람도 아파트도 사고, 빌라도 사고

주거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어요.”

- 김상우 씨(가명) 인터뷰 中 -

 

<집값 하락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폭락이와 폭등이> 편이 금요일 10시 KBS1TV <시사직격>에서 방송된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