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과 학교, 괴리감 여전...소통하고 협력해야

주미화 본지 편집위원장 / 광명교육희망네트워크 대표
주미화 본지 편집위원장 / 광명교육희망네트워크 대표

광명지역신문=주미화 본지 편집위원장> 마을은 공간만 주어져도 우리 아이들이 즐겁게 만나고 좋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자원의 창구입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마을 사람들에게 축제이고, 아이들을 위해 무엇인가 할 수 있는 희망이기도 합니다. 2015년 경기꿈의학교가 출발해 마을교육공동체가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늘 고민합니다. 학교+마을+교육+공동체는 어느 하나 따로 떼어 놓을 수 없으며 우위를 가릴 수도 없습니다.

마을교육공동체를 마을 안에서 교육활동을 하는 (마을활동가)공동체라 정의해봅시다. 서로 다른 성격의 공동체들이 어울리면서 더 큰 공동체로 성장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공동체성’을 강조한다면 마을교사나 학부모에게 봉사자로서 ‘순수성’을 요구하지만 강의나 활동을 하는 마을활동가들에게는 또 ‘전문성’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그럼 교사, 강사, 봉사자, 활동가를 구별하는 기준이 무엇일까요? 이들은 꼭 구분되어야 하나요? 지자체에서 만든 센터의 강사양성과정을 거치면 자격을 갖게 되나요? 마을교사의 수당을 높이면 이런 문제는 해결될까요? 마을교사와 방과 후 강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이런 질문들의 명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많은 논의가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마을교육공동체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활동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한 아이 하나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습니다. 학교와 마을이 힘을 모아 마을 배움터를 만들면 아이들을 제대로 키워낼 수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마을과 마을, 사람과 공간이 만나는 마을의 배움터는 광명시 전 지역으로 확대되어야 합니다. 평생학습도시를 함께 만들어 가면 광명시 전체는 큰 배움터가 될 것입니다.

이곳에서 태어나 자란 아이들이 마을과 도시를 더 깊이 배우고 사랑하는 선순환 구조가 ‘마을의 배움터’입니다. 아이들이 마을과 마을 어른에게서 지역 생태계와 역사를 배우고, 지역경제와 문화를 선도하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마을과 학교가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 아이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스스로 탐구하고 참여해 미래를 준비하고,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끌어낼 맞춤형 학습지원이 필요합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 안팎이 배움터가 되고, 학교에서 어려운 교육은 마을에서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아이들이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합니다. 이를 위해 마을은 학교와 협력하고 소통하며 공감해야 합니다.

그럼 마을과 학교의 관계는 어떨까요? 지역사회는 아직도 학교 문턱이 높다고 하고, 학교는 지역사회가 무조건 문을 열어 달라고 요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괴리감을 함께 풀지 못하면 마을교육공동체는 불가능합니다. 학교는 다양한 주체들이 생활하는 곳입니다. 지역사회는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해 다양한 주체들의 멘토와 멘티로서 각자가 지닌 역량을 지원해야 합니다. 마을과 학교는 학교 교육에 필요한 역할을 분석하고 준비해야 하며, 소통하고 지지해야 합니다.

다른 교육생태계를 가진 영역이라 어렵고 힘이 듭니다. 하지만 서로 이해하고 공감한다면 마을교육공동체는 희망적이고 즐겁게 활동하고 싶어지는 교육의 중심이 되리라 믿습니다. 아이들의 행복한 교육을 위해,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해 더 큰 힘을 모았으면 합니다.

저작권자 © 광명지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